SKT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해킹사태내정보 지키는 법얼마전에 SKT USIM 서버가 해킹되는 일이 벌어졌죠?이름, 전화번호등의 개인정보만이 아니라 USIM이 해킹되다니..누가 상상이나 했을까요?안그래도 요즘 AI다, 챗GPT다 새로운 기술이 발달되고, 인간의 두뇌를 넘어선 인공지능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마당에 저는 '이렇게 기술에 의존하게 될수록 개인정보는 괜찮을까?'싶더라고요.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삶이 편리해지고, 범인검거가 빨라지기도 하지만 반면에 또다른 범죄가 증가하는 것 같아요.같은 기술이라도 어떤마음을 먹고 사용하느냐에 따라 선하게도,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악하게도 사용되니까요.유심 해킹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유심이 해킹되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생각보다 심각하더라고요. 조사해보니문자 메세지 가로채기인증번호 문자(SNS)를 해커가 수신하여 금융계좌, SNS, 메신저 등을 도용 할 수 있음2. 전화 수신/ 발신 도청 또는 조작해커가 전화를 받거나 걸 수 있어 사칭/ 사기 가능통화내용 도청 위험3. 계정 탈취구글, 애플, SNS 계정의 2단계 인증이 뚫릴 수 있음패스워드 재설정 링크나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인증코드 탈취 가능성이 있음4. 모바일 뱅킹 및 금융앱 해킹금융기관 OTP인증, 모바일 인증서 등 유심 기반 보안 요소 우회 가능예금 인출, 송금 등의 금융사고로 이어짐5. 명의 도용 및 범죄 악용유심 명의자의 신분으로 계정을 생성하여 금융 사기 등에 활용될 수 있음범죄에 연루되는 상황도 가능 (피해자 -62가해자가 될 수 있음)6. 스마트폰 잠금 해제 우회일부 보안 체계가 유심 정보를 기반으로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작동되는 경우, 기기 잠금 우회 가능성 존재함7. eSIM 사용자도 위험eSIM은 원격으로 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유심보다 보안에 더 민감할 수 있음해커들이 어디까지 정보를 빼갔는지는 모르겠지만 핸드폰으로 웬만한 생활이 다 이루어지는 요즘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고요.예방 조치에 대해서도 알아 보았어요.통신사에 USIM 잠금설정 (PIN코드)를 요청하거나 직접 설정하기이상한 문자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즉시 통신사에 확인하기모바일 OTP나 SNS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인증대신 보안토큰 혹은 생체인증 사용하기eSIM 사용자도 QR코드 노출에 주의하기계정 보안에 이메일 인증이나 앱 기반 2차 인증(예 : Google Authenticater) 사용하기해킹 의심시 대처법과 유심 PIN 설정 방법도 공유합니다.유심 PIN 설정 방법 (안드로이드 / 아이폰 공통)안드로이드폰 (삼성, 샤오미, LG 등)설정 - 보안 또는 생체인식 및 보안기타보안설정 - SIM카드 잠금설정SIM카드 잠금 활성화기본 PIN 코드 입력 (통신사 기본값, 예 :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SKT는 0000/ KT는 1234/ LG U+는 0000)PIN 변경 메뉴에서 새 PIN으로 변경아이폰 (iOS)설정 - 셀룰러 또는 모바일 데이터SIM PIN - 켬(ON)기본 PIN 코드 입력 후 새 PIN 설정 가능(주의 : PIN을 3회 이상 틀릴 경우 SIM이 잠기며, PUK 코드가 필요합니다. 통신사 고객센터에 문의)유심 해킹이 의심될 때 즉시 해야 할 조치기기전원 끄기 또는 비행기 모드통신 신호를 차단하여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유심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중단통신사 고객센터에 즉시 연락하기내 유심이 다른 기기로 이동되었는지 확인유심 잠금 요청 또는 번호 정지 요청SKT : 114 / KT : 114 / LGU+ : 114 (해외는 +82-10-XXXX-XXXX)모든 중요 계정(은행, 이메일, SNS등) 비밀번호 즉시 변경특히 휴대폰 번호로 인증되는 계정은 이메일 인증 또는 앱 기반 2단계 인증 (Google Authenticator, Authy등) 으로 전환금융사 및 카드사에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알리기계좌 이상 거래 감시 요청모바일 OPT 정지 또는 재발급사건이 확정되면 경찰서 사이버 수사팀에 신고하기보안 팁공공 와이파이 사용시 VPN 사용 권장문자로 오는 URL 절대 클릭 금지유심 변경 알림 설정 (일부 통신사 앱 가능)해외에서 유심 구매 시, 반드시 공식 판매처 이용내용 참고하셔서 보안 강화하고, 개인정보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관리 바라요.이참에 타 통신사로 갈아타는 수요도 많은듯 한데, 정말 보통일이 KT가게정보알림메세지 아닌듯 싶습니다..